본문 바로가기

경험론2

흄의 경험론 (2) - 형이상학의 학문적 불가능성 흄의 경험론 자아 또는 정신은 현존할까? - 경험론적 회의주의 (데카르트 비판) 자아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갖고 있는 나에 대한 다양한 감각 인상들(울고,웃고 등등)의 기억으로 가지는 관념이다. 그래서 ‘나’는 이런 관념들의 묶음에 불과하다. 따라서 그것 이상의, 언제나 변하지 않는 부동의 자아 자체라고 하는 것은 없다. 자아 역시 신념에 불과한 것이다. 언제나 하나의 동일한 자아로 남아 있는 자아는 우리가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인상의 세계에 불과하다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신역시대응하는인상을가지지않는다. 따라서 학문적으로는 신의 존재를 증명할 수 없다. 이로써 데카르트가 무한실체와 물체로서의 실체, 정신으로서의 실체 등등이 있다고 한 것을 흄은 단지 대응하는 인상.. 2023. 2. 19.
흄의 경험론 (1) - 인과율 흄의 경험론의 주요 부분을 살펴보겠다. [흄의 경험론 핵심 포인트] 1.인과 causality개념에 대한 분석 2.물체,정신,영혼,신과 같은 실체들의 현존을 부정하는 것이 중요 포인트. (데카르트 반박) 흄이 왜 경험론의 완성자인가 그는 실제로 우리가 살아가면서 얻는 지식들은 모두 경험 과학 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수학과 같은 어떤 관념들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추상적인 논증에 기초한 학문의 확실성과는 달리 사실의 문제(Matter of fact)를 다루는 학문은 경험 과학일 수밖에 없다. 인과율: 대응하는 인상이 없다. 이 경험과학의 토대에는 인과율이라는 것이 놓여있다. 우리가 발생한 일로부터 일어나는 결과를 예측한다던가,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추적한다던가 하는 인과적 추론이 경험.. 2023. 2. 19.